다른 프로그램들도 많지만 무료이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ZET9의 차트설정 하는 방법을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너무도 많은 기능을 탑재하고 있어서 프로그램 사용법만 배우는데도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을까 합니다. 그쵸?
대부분의 설정은 메뉴의 설정창에 들어있습니다.
메뉴에서 설정/차트설정을 누르시면 설정 창이 뜹니다.
또는 차트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누르시면 간단한 메뉴가 뜨면서 차트설정창을 선택할수도 있습니다.
차트설정을 누르시면 상단 좌측에 있는것이 형식(F, format?) 입니다.
이것저것 눌러보시면 재미있는데요...초보자가 건드릴 만한 것은 없는것 같습니다.
두번째 있는것이 차트의 휠과 관련된 것입니다. 휠은 화면의 좌측에 있는 원형 천궁도를 의미합니다.
그 동그란 원형 천궁도에 어떻게 표시할 것인가를 설정하는 곳입니다.
몇가지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위에 있는 차트 휠의 체크를 지우면 화면에서 원형의 휠이 아예 보이지 않으므로 항상 체크하셔야 합니다.
행성 도수보이기는 말 그대로 행성의 도수를 도까지 표시할지 아니면 도, 분 모두 안보이게 할지를 설정합니다.
역행성 표시는 행성이 역행할때 행성기호 우측에 R(Retrograde)표시가 됩니다. 행성의 역행은 매우 중요하므로 표시가 되어야 합니다.
아래 그림에서 목성이 역행상태이므로 R 표시가 되어있습니다.
행성의 원형배치는 그림을보시면 쉽게 이해가 가실겁니다. 보시기 편한것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행성의 색상표시는 행성마다의 색을 따로 줄것인지 그냥 검은색으로 할 것인지...
천궁도 안에서의 행성에만 색을 구분할것인지...우측의 표에도 행성의 색을 구분할 것인지를 나타냅니다.
세개의 체크표시가 있는데요...가운데것은 우측의 표 관련, 우측 체크는 천궁도 안의 행성 관련입니다.
체크가 안되면 행성의 색이 모두 검정색입니다.
가운데만 누르시면 우측 표의 행성에만 색이 변합니다. (우측 체크만 표시하면 천궁도 안에만 색이 변하겠지요?)
가운데, 우측 체크를 표시하면 천궁도와 우측 표 모두 행성의 색이 변합니다.
앵글 강조는 말 그대로 Asc, Dsc의 연장선과 MC, IC의 연장선이 굵어지고 가늘어지고의 차이 입니다.
하우스선 연장, 커스프 번호, 하우스 번호, 커스프 도수는 한번씩 눌러보세요. 말 그대로니까요.
다른 내용들은 별로 건드릴게 없을것 같습니다.
다음은 벨트 메뉴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 벨트란 원형의 천궁도 가장자리에 있는 띠모양을 말합니다. 이 부분에 여러가지를 표시할수가 있거든요.
Term, Face(Decan), 그외 여러가지를 보여줄수 있습니다.
주역 64괘의 괘 모양도 표시할수가 있습니다.
벨트 메뉴의 두번째 황도대에 체크를 하시고 주역 64괘를 체크하시면 아래그림처럼 64괘를 보실수 있습니다.
텀 벨트 보이기와 데칸 벨트 보이기도 아주 유용합니다.
아래 그림처럼 체크를 모두 하면 2개의 벨트가 보이는데요 안쪽의 벨트(빨간색 표시)가 데칸 벨트, 바깥쪽 벨트(파란색 표시)가 텀 벨트 입니다.
다른 메뉴인 모드, 기타, 지방 지형도 등은 초보가 건드릴 필요가없을것 같습니다.
2014.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