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hrcnrud11&logNo=10089883962
1. 간지오행(干支五行)으로 보는 방법.
2. 건제십이객(建除十二客)으로 보는 방법.
3.
소육임(小六壬)으로 보는 방법.
일진을 잡는 중요한 기준은 위의 세 가지 방법에 불과하다. 二十八宿도 응용하지만 정확지 않다. 이중
간지오행과 건제십이신 두 가지를 사용해 날을 잡는 수단으로 사용하고 이를 수록한 것이 책력(택일력)이다.
여기에 소개하는 것은 세가지 중에서 小六壬이다. 六曜法이라고도 한다.
소육임법은 제갈공명이 만든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명나라, 청나라 때는 관청의 행사 날짜나 일정을 소육임법으로 잡았다. 현재 홍콩에서는 소육임법이 크게 유행하고
있다.
소육임법을 익히면 이후로는 책력없이도 손쉽게 날을 잡을 수 있다. 적중률도 크게 높은 방법이니 기억하기 바란다. 무속인에게 꼭
필요한 일진 판단법이다.
소육임법(육요법)의 손가락 위치
大安
: 2지(검지) 바닥으로부터 세번째 금.
留連 : 2지(검지) 손톱 끝 부분.
速喜 : 3지(중지) 손톱 끝 부분.
赤口 :
4지(무명지) 손톱 끝 부분.
小吉 : 4지(무명지) 바닥부터 세번째 금.
空亡 : 3지(중지) 바닥부터 세번째
금.
세어나가는 순서는 대안 → 유련 → 속희 → 적구 → 소길 → 공망 순으로 하며, 이 순서는
고정불변이다.
대안은 1, 7월을 의미한다.
유련은 2, 8월을 의미한다.
속희는 3, 9월을 의미한다.
적구는 4, 10월을 의미한다.
소길은 5, 11월을 의미한다.
공망은 6, 12월을 의미한다.
달의 자리에서 초하루가 시작된다. 엄지를 이용해서 대안(1월)부터 짚어나가면 된다.11월 26일은....
소길 위치에서 초하루부터 헤아리면 공망일이 된다. 육요에서의 공망과 사주학에서의 공망은 다소 의미가 다르다.
1월 1일은 대안일에 해당된다.
3월 1일은 속희이다.
6월 1일은 공망이고, 6월 2일은
대안이다.
7월 1일은 대안이고, 7월 4일은 적구이다. (이런 순서이다.)
시간도 날의 자리에서 子時가 시작된다. 그 다음이 丑時가 되고.
2월2일 速喜일 子時와 午時는
速喜時가 되며, 이 시간이 좋은 시간이다.
이를 익히면 산속이든 어디든 책없이도 일진을 잡을 수 있다. 음력 날짜는 알고 있어야 한다.
小六壬 口訣
대안(大安) : 크게 편하다는 뜻으로 吉日이다. 몸을 지키는 경우가 많으며 비가 눈이 오는
날이 많다.
身不動 屬木 靑龍 謀事一五七
大安事安昌 求財在坤方 失物去不遠 宅舍保安康
行人身未動 病者主無妨 將軍回田野
仔細更推詳
유련(留連) : 만사가 이어지지 않는 날이다. 약속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일이 꼬여서 풀리지 않는
날이다.
卒未歸 屬水 元武 謀事二八十
留連事男成 求謀日未明 官事只宜緩 去者未回程
失物南方見 急討方①心 更須防口舌 人口只平平
(① 진 : 좇을)
속희(速喜) : 기쁜 소식이 있는 날이다. 경험으로 미루어 속희가 가장 좋은 날이다.
人便至 屬火
朱雀 謀事三六九
速喜喜來臨 求財向南行 失物申午未 逢人路上尋
官事有福德 病者無禍侵 田宅六蓄吉 行人有信音
적구(赤口) : 구설수가 있는 날이다. 남과의 언쟁을 조심해야 한다. 큰 싸움으로 번진다. 반면 재물운이
있어 장사가 크게 잘된다. 가게 매상이 제일 높은 날은 모두 적구일이라 보면 된다.
官事兇 屬金 白虎 謀事四七十
赤口主口舌 官非切要防
失物速速討 行人有驚慌
六畜多作怪 病者出西方 更須防詛呪 誠恐染瘟②
(② 황 : 명치끝)
소길(小吉) : 육요 중에서 가장 좋은 날이다. 만사형통하는 최대 길일이다.
人來喜 屬水 六合
謀事一五七
小吉最吉昌 路上好商量 陰人來報喜 失物在坤方
行人卽便至 交關甚是强 凡事街合和 病者叩穹蒼
공망(공망) : 가장 흉한 날로 큰 흉사를 치르고 소육임을 잡아보면 여지없이 공망일인 경우가
많다.
音信稀 屬土 勾陳 謀事三六九
空亡事不祥 陰人少乖張 求財無利益 行人有災殃
失物尋不見 官事有刑傷 病人逢暗鬼
解禳保平安
해당되는 날을 그날의 일진으로 생각하고, 시는 다음으로 친다.
속희일 공망시는 날이 좋으므로 큰
흉함이 없다.
출처 : | 東易堂 | 글쓴이 : 동녘(東易) 원글보기 ![]()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FhKk&articleno=802659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