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역학

하락이수 작괘 [펌]

청매화 2017. 10. 23. 16:50

https://blog.naver.com/tscur/220912568880

 

하락이수(河洛理數) 작괘방법(作卦方法)

  하락이수(河洛理數)  작괘방법(作卦方法)   상리학의 특징은 數로 표기 합니다, 수치화해...

blog.naver.com

 

 

하락이수(河洛理數)  작괘방법(作卦方法)

 

상리학의 특징은 數로 표기 합니다, 수치화해서 한다는것도 매리트가 있읍니다.

예로 참평비결(參評祕訣)은 사주명리를 수치화해서 짧은 문구로 나타내는데 의외로 비슷하게 나옵니다  

 

* 천수(天數), 지수(地數)
 

   천수는 홀수,  지수는 짝수 이다

 

* 후천수(後天數), 선천수(先天數)

하도(河圖) 낙서(洛書)에서 나온 수로

천간(天干)은 후천수로 천수나 지수 둘중 하나이고, 지지(地支)는 선천수로 천수, 지수 각기 있다 

 

 

  後天數 先天數
 
天數       7 1 9 3       1 5 3 3 5 7 7 5 9 9 5 1
地數 6 2 8         4 6 2 6 10 8 8 10 2 2 10 4 4 10 6

 

 

 

1. 천수(天數), 지수(地數) 구하기
 

박도사(박제산)님의 명조 입니다

 

天數 9 7 1     17
地數       2   2
천간
   
지지    
天數 9 3 1 1   14
地數 4 8 6 6   24

 

천수는 17 + 14 = 31

지수는  2 + 24 = 26

 

천수가 25, 지수가 30 이면 貴格 이라고 하고, 기본수(基本數)라 합니다.

 

 

* 팔괘(八卦)

6 7 9 3 4 1 8 2

문왕팔괘와 경방역에서 나온것입니다. 5수를 중궁(中宮)이라 하고, 八卦에는 없읍니다

 

 

 

2. 천수(天數), 지수(地數)로 팔괘(八卦) 구하기

 

1) 천수, 지수가 기본수(천수:25, 지수:30)를 넘으면 해당 기본수를 감(減) 합니다

2) 두자리 수이면 단 단위 즉 끝수를 취합니다 (27 -> 7)

3) 두자리수의 단단위가 0 이면 십(十)단위 숫자로 합니다 (10 -> 1, 20 -> 2)

4) 만약 '5'(궁중수)를 얻었다면 태어난 해가 가령
中元(1924~1983)이라면 陽年男 陰年女는 간(艮)괘로 하고, 음남양녀는 곤(坤)괘로 함
下元(1984~2043)이라면 음양남녀 관계없이 남자는 리(離)괘로 하고, 여자는 태(兌)괘로 함

 

 

  상원 중원 하원
1864~1923 1924~1983 1984~2043
陽年男 간()괘 간()괘 리()괘
年男 () 곤(坤)괘 ()
陽年女 곤(坤)괘 곤(坤)괘 태(兌)괘
陰年女 곤(坤)괘 () 태(兌)괘

 

 

* 박도사(박제산)님의 天數, 地數, 八卦  

 

천수는 17 + 14 = 31 :  31 - 25 = 6 -> 6 : 乾(건,☰)

지수는  2 + 24 = 26 :  26          -> 6 : 乾(건,☰)

 

 

 

3. 선천괘(先天卦) 구하기

 

 

양년남(陽天干年男). 음년여(陰天干年女) : 천지(天地), 天數가 上(外)괘, 地數가 下(內)괘 
음년남(陰天干年男). 양년여(陽天干年女) : 지천(地天), 天數가 下(內)괘, 地數가 上(外)괘

 

 

 

          [64괘 샘플]

 

 

4. 원당효(元堂爻) 구하기

 

   시지(時支)로 선천괘 6효(爻)중 원당효(으뜸효)를 선택

 

   陽時(子丑寅卯辰巳,오전), 陰時(午未申酉戌亥,오후)로 나눈다

 

 

  1) 양시(陽時,오전)일때는 양효에 좌측 아래에서 위로, 우측 아래에서 위로 지지를 부여

  2) 만약 지지가 남으면 음효의 좌측 아래에서 위로 붙인다

 

 

    

  3) 음시(陰時,오후) 일때는 음효부터 동일 방법으로 한다

 

 

  4) 양시 양괘가 4,5, 음시 음괘가 4,5 일시 우측없이 좌측으로만 한다

  5) 건곤(乾坤)은  月支 참조, 순서는 팔괘(상괘,하괘) 단위

 

 

 

 순서기준

 

 1. 해당효 3 개 까지는 좌상행(左上行)후 우상(右上)

 2. 해당효 4, 5개는 상행(上行)

 3. 해당효 6 일때,  月支 참조, 순서는 팔괘(상괘,하괘,소상괘) 단위

   건괘(卦)경우 : 남자(男子), 음월여(陰月女) : 정상(正狀),  양월여(陽月女) : 거꾸로
   곤괘(卦)경우 : 여자(女子), 양월남(陽月男) : 정상(正狀),  음월남(陰月男) : 거꾸로 

 

 * 출생시 지지가 붙은효(초효~상효, 6효중 하나)를 원당효라 한다

 

 

5. 후천괘(後天卦) 구하기

 

  (1) 원당효 음양 변화
  (2) 내외(內外,上下)卦 위치 변화
  

* 예외) 지존괘(坎屯蹇) 내외(內外,上下)卦 위치 변화만, 원당효 음양변화는 하지 않는다

  

  지존괘(坎屯蹇 효) 양월(月) : 정상변화, 음월(陰月)은 위치만, 원당효 음양 불변 
  지존괘(坎屯蹇 효) 음월(月) : 정상변화, 양월(陽月)은 위치만, 원당효 음양 불변 

 

 

 

* 박도사(박제산)님의 선천괘, 원당, 후천괘 입니다

 

        

 

 

[출처] 하락이수(河洛理數) 작괘방법(作卦方法) |작성자 단공

 

 

 

 

 

https://blog.naver.com/falcon420/50186511222

 

하락리수

 4. 하락리수(河洛理數) 명국(命局)    박태준 선생의 금역만세력 초기 화면에서 ...

blog.naver.com

 

 

 

[참고: 원당효를 정하는 방법]

 

자축인묘진사시(상육시)에 태어난 사람인 경우로,

(상육 1) 평생괘가 1양괘인 경우

- 자축시는 양효로, 이후 아래의 음효부터 위로 차례로 인묘진사시 순서로 원당이 결정

(상육 2) 평생괘가 2양괘인 경우

- 자인시는 아래 양효로 축묘시는 둘째 양효로, 이후 아래의 음효부터 위로 차례로 진사시 순서로 원당이 결정

(상육 3) 평생괘가 3양괘인 경우

- 자묘시는 아래 양효로 축진시는 둘째 양효로 인사시는 셋째 양효로 원당이 결정

(상육 4) 평생괘가 4양괘인 경우

- 아래의 양효부터 위로 차례로 자축인묘시 순서로, 이후 아래의 음효부터 위로 차례로 진사시 순서로 원당이 결정

(상육 5) 평생괘가 5양괘인 경우

- 아래의 양효부터 위로 차례로 자축인묘진시 순서로, 이후 남은 음효에 사시로 원당이 결정

 

, 미, 신, 유, 술, 해시(하육시)에 태어난 사람인 경우로,

(하육 1) 평생괘가 1음괘인 경우

- 오미시는 음효로, 이후 아래의 양효부터 위로 차례로 신유술해시 순서로 원당이 결정

(하육 2) 평생괘가 2음괘인 경우

- 오신는 아래 음효로 미유시는 둘째 음효로, 이후 아래의 양효부터 위로 차례로 술해시 순서로 원당이 결정

 (하육 3) 평생괘가 3음괘인 경우

- 오유시는 아래 음효로 미술시는 둘째 음효로 신해시는 셋째 음효로 원당이 결정

(하육 4) 평생괘가 4음괘인 경우

- 아래의 음효부터 위로 차례로 오미신유시 순서로, 이후 아래의 양효부터 위로 차례로 술해시 순서로 원당이 결정

(하육 5) 평생괘가 5음괘인 경우

- 아래의 음효부터 위로 차례로 오미신유술시 순서로, 이후 남은 양효에 해시로 원당이 결정

 

(6양괘) 평생괘가 6양괘(중천건괘)인 경우

(6양남 상육시) 남자인 경우로 상육시에 태어난 경우

- 자묘시는 초효로 축진시는 2효로 인사시는 3효로 원당이 결정

(6양남 하육시) 남자인 경우로 하육시에 태어난 경우

- 오유시는 4효로 미술시는 5효로 신해시는 상효로 원당이 결정

(6양녀 양둔기) 여자인 경우로 동지부터 하지 사이에 태어난 경우

- 상육시에 태어났다면 자묘시는 상효로 축진시는 5효로 인사시는 4효로 원당이 결정

- 하육시에 태어났다면 오유시는 3효로 미술시는 2효로 신해시는 초효로 원당이 결정

(6양녀 음둔기) 여자인 경우로 하지부터 동지 사이에 태어난 경우

- 상육시에 태어났다면 자묘시는 초효로 축진시는 2효로 인사시는 3효로 원당이 결정

- 하육시에 태어났다면 오유시는 4효로 미술시는 5효로 신해시는 상효로 원당이 결정

 

(6음괘) 평생괘가 6음괘(중지곤괘)인 경우

(6음녀 상육시) 여자인 경우로 상육시에 태어난 경우

- 자묘시는 초효로 축진시는 2효로 인사시는 3효로 원당이 결정

(6음녀 하육시) 여자인 경우로 하육시에 태어난 경우

- 오유시는 4효로 미술시는 5효로 신해시는 상효로 원당이 결정

(6음남 양둔기) 남자인 경우로 동지부터 하지 사이에 태어난 경우

- 상육시에 태어났다면 자묘시는 초효로 축진시는 2효로 인사시는 3효로 원당이 결정

- 하육시에 태어났다면 오유시는 4효로 미술시는 5효로 신해시는 상효로 원당이 결정

(6음남 음둔기) 남자인 경우로 하지부터 동지 사이에 태어난 경우

- 상육시에 태어났다면 자묘시는 상효로 축진시는 5효로 인사시는 4효로 원당이 결정

- 하육시에 태어났다면 오유시는 3효로 미술시는 2효로 신해시는 초효로 원당이 결정

 

[출처] 하락리수|작성자 금역소프트